네트워크 보안

이 기능은 Lite, Basic, Premium 상품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구성원이 네이버웍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IP를 제한합니다.

단, 안정적인 서비스 관리를 위해 최고관리자는 설정과 상관없이 네이버웍스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  1. Admin 왼쪽 메뉴에서 '보안' 선택해 메뉴를 펼친 후 '네트워크 보안'을 눌러 '네트워크 보안'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 모바일에서는  버튼을 탭하면 메뉴가 나타납니다.
  2. 각 항목별로 오른쪽의 아이콘을 눌러 설정을 변경합니다.
  3. 상단의 '저장'을 눌러 변경한 내용을 저장합니다.

각 항목에 대한 상세한 설명입니다.

접속 IP 제한

접속 IP 제한 설정

옵션 내용
모든 IP에서 접속을 허용
  • 모든 IP에서 네이버웍스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.
  • '해외 로그인 차단'을 설정해 해외에서의 비정상적인 접속(어뷰징)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.
    단, 설정 시 모바일앱을 제외한 네이버웍스에서 모든 구성원이 로그아웃되고, API 호출 시 사용하는 access token이 만료됩니다.
지정한 IP에서만 접속을 허용
  • 네이버웍스의 PC웹, PC앱, 드라이브 탐색기, POP3/SMTP, IMAP/SMTP, CalDAV으로 네이버웍스에 접속할 경우 관리자가 허용한 IP로만 접속할 수 있습니다.
  • 단, 모바일앱에서는 IP와 관계없이 접속할 수 있습니다.
  • '외부 메일 가져오기'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
  • 단, '지정한 IP에서만 접속을 허용'으로 설정 시 모바일앱을 제외한 네이버웍스에서 모든 구성원이 로그아웃되고, API 호출 시 사용하는 access token이 만료됩니다.

해외 로그인 차단

'접속 IP 제한' 설정에서 '모든 IP에서 접속을 허용'을 선택한 경우, '해외 로그인 차단'을 설정해 해외에서의 비정상적인 접속(어뷰징)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.

  • '해외 로그인 차단'을 설정하면 '로그인 차단 예외 국가' 이외의 IP로 로그인 시 개인 이메일 또는 휴대폰 번호로 본인인증을 완료해야 합니다.
  • 네이버웍스의 모바일 앱, PC웹, PC앱, 드라이브 탐색기에 적용됩니다.
  • 단, CalDAV, IMAP 등 외부 앱에서 로그인은 차단되지 않습니다.
  • '로그인 차단 예외 국가'에 추가한 국가에서는 본인인증을 하지 않고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.

접속할 수 있는 IP 관리

구성원이 네이버웍스에 접속할 수 있는 IP를 관리합니다.

  • 새 IP 추가: 'IP 또는 IP 대역 입력'에 새로운 IP 또는 IP 대역을 입력하고 '추가' 버튼을 누른 후, 상단의 '저장'을 눌러야 반영됩니다.
    • IP 또는 IP 대역대 형식으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공인 IP 형식만 등록할 수 있습니다.
  • 등록된 IP 삭제: 삭제할 IP 옆의 를 누른 후 상단의 '저장'을 눌러야 반영됩니다.

등록된 IP를 삭제하고 저장하면 모바일앱을 제외한 네이버웍스에서 모든 구성원이 로그아웃되니 주의해주세요.

공공용 네이버웍스에서는 일부 기능이 제한됩니다. 자세한 내용은 네이버웍스 기능 소개서를 확인해주세요.
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?
  • 아니오
가장 도움이 되지 않았던 점을 알려주세요.
  • 도움말에 적혀있는 해결 방법이 틀립니다.
  • 도움말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.
  • 다른 사용 환경의 도움말이 필요합니다. (예: Mobile 관련 도움말이 없습니다.)
  • 기타

그 외 불편했던 점을 알려주세요.

의견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.